경기도 교육청

GNB blk bg
GNB mobile main blk bg

slide banner

불법정보유출금지
전국연합학력평가 유출 관련 안내 팝업입니다.
23년 봄호 사서와 함께 책읽기
전자책 오디오북 무제한 이용서비스 신청 안내
23년 건강검진비 지원 안내
23년 3월 학교안전사고예보
0/0 이전 멈춤 시작 다음 control blk bg
이전 다음

보도자료

보도자료 더보기
경기도교육청, 교육활동 보호 위해 현장의 예방교육 강화 나서 경기도교육청, 교육활동 보호 위해 현장의예방교육 강화 나서교육활동 보호 도단위 강사 네트워크 구축과 역량강화 연수 실시◦4월부터 12월까지 학교로 찾아가는 교육활동 보호 연수 실시◦경기교권보호지원센터 6개 권역 69명, 강사 역량강화 연수 참여◦교육활동 보호 정책 안내, 침해사안 발생 시 대응 방안 주제로 연수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교권 존중과 교육활동 보호 문화 조성을 위해 교육활동 보호 예방교육을 강화한다고 23일 밝혔다.도교육청은 경기교권보호지원센터 6개 권역(북부, 동부, 중부, 남서, 남동, 남서)에서 도단위 강사 네트워크를 구축해 찾아가는 교육활동 보호 예방교육을 실시한다.찾아가는 예방교육은 6개 권역별 강사들이 사전 신청한 학교로 찾아가 교육활동 보호와 침해사안 발생 시 대응 절차에 대해 4월부터 12월까지 연수를 진행할 계획이다.도교육청은 강사 인력풀을 확대하고 2023 교육활동 보호 도단위 강사 역량강화 연수를 통해 강사 역량을 강화하여 교육활동 보호 예방교육을 활성화한다.도단위 강사 역량강화 연수는 경기교권보호지원센터 6개 권역 69명이 참여해 10일부터 24일까지 20시간 직무연수로 운영하고 있다.도교육청 서은경 생활인성교육과장은 찾아가는 교육활동 보호 예방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단위 강사 인력풀을 확대하고 지속적으로 강사들의 역량을 강화하겠다.라며 학생 인권과 교권을 상호 존중하는 학교 문화 조성을 위해 토론회, 포럼, 연수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현장 의견을 수렴하겠다.라고 말했다.한편, 도교육청은 경기교권보호지원센터 6개 권역별로 컨설팅단을 구성해 교육활동 침해사안 현장 긴급 지원팀과 함께 맞춤형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문의: 031-820-0801, 생활인성교육과 교권보호담당 장학사 이윤아 2023.03.23
경기도 학생 10명 중 8명이 원한다 경기도교육청, 자율선택급식 모델학교 75교 운영 경기도 학생 10명 중 8명이 원한다경기도교육청, 자율선택급식 모델학교 75교 운영다양한 급식 운영, 영양‧식생활교육, 식당 환경 개선 방안 마련◦ 학생 자율권과 선택권 확대로 자기주도 식생활관리 역량 강화◦ 고등학생 1,001명 중 82.6%가 자율 선택형 급식운영 필요하다고 응답◦ 전문지원단 구성해 컨설팅, 연수로 지속적 현장 소통, 교육자료 개발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학생의 자율권과 선택권 확대로 자기주도 식생활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자율선택급식 모델학교 75교를 운영할 계획이다.지난 1월 도내 고등학생 1,001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학생 82.6%가 자율 선택형 급식 운영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학년별로는 1학년 86.3%, 2학년 82.9%, 3학년 78.9%가 자율 선택형 급식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도교육청은 지난해 자율선택급식 협의체와 사전 운영교 의견을 바탕으로 ▲다양한 자율선택급식 모델학교 운영 ▲모델학교 중심 사례 공유 ▲공감대 확산으로 자율선택급식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자율선택급식 모델학교 선정은 희망교 신청, 교육지원청 추천, 위원회 선정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지역별‧학교급별‧학생 수 등 학교 여건과 운영 계획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할 계획이다.도교육청 박만영 학교급식보건과장은 자율선택급식은 학생들이 스스로 급식의 주체가 되고 다양한 급식을 운영해 학생의 자율권과 선택권을 확대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학교 여건에 맞는 다양한 자율선택급식 모델학교 운영을 위해 교육공동체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현장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한편, 도교육청은 지난해 협의체 운영, 사전 운영교 보고회, 학생 참여 교육급식 정책 정담회 등을 통해 자율배식형 급식, 영양‧식생활교육 강화, 식단 개선, 저탄소 식단 등 교육공동체 의견을 바탕으로 자율선택급식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문의: 031-249-0586, 학교급식보건과 급식기획담당 담당자 신은주 2023.03.22

slide banner

제16회 기록사랑 공모전은 3월 2일부터 4월 10일까지 입니다.
33/55 이전 멈춤 시작 다음 control blk b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