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1 | 학습준비물 지원 사업 |
---|---|
사업내용 | 양질의 학습준비물을 적기에 제공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교육과정을 원활하게 운영하고 학생과 학부모의 심리적,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사업 |
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
|
선정대상 | 국·공·사립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
선정인원 | 초등학교 전 학년 학생 |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신청절차 없이 단위학교에서 일괄 구입해서 지원 |
문의처 | 학교교육과정과 김종화 ☎(031) 820-0736 |
초등2 | 돌봄교실 운영 | ||
---|---|---|---|
사업내용 |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에게 안전하고 질 높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 ||
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
간식비, 급식비, 프로그램운영비, 재료비, 기타운영비 등 (연중 상시 지원) | ||
지원대상 |
|
||
지원인원 | 돌봄 수요 및 단위 학교의 기준을 고려하여 선정된 학생(22명까지 가능) | ||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신청방법 : 재학 중인 학교에 신청서 접수 등 개별 신청 신청기간 : 학교별 신청기간에 따름 (매년 12월~1월 사이) |
||
문의처 | 방과후교육과 김경미 ☎(031) 820-0907 | 마을교육공동체정책과 김욱진 ☎(031) 820-0909 | 마을교육공동체정책과 김경미 ☎(031) 820-0910 |
초등3 |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 |
---|---|
사업내용 | 교육취약 학생들에 대한 교육복지서비스(교육·문화·복지) 지원으로 학교적응력 향상과 건강한 교육적 성장을 도모하여 교육 기회 균등을 실현하기 위한 사업 |
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
|
지원대상 |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탈북 및 다문화 학생, 특수교육대상 학생 등 |
지원인원 | 사업학교 : 13,200명, 연계학교 : 13,500명 (최근 3년 지원학생수 평균 인원) |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신청불요(지원대상에 해당하는 취약계층 학생을 학교 교육복지위원회에서 선정) |
문의처 | 교육복지기획과 정재호 ☎(031) 820-0843 |
초등4 | 방과후 자유수강권 지원 | ||
---|---|---|---|
사업내용 | 저소득층 학생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비 지원 | ||
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
|
||
지원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족보호대상자, 법정차상위대상자,난민인정자, 세월호침몰사고 관련 피해자, 탈북학생, 중위소득 70%이하 자녀,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학생 | ||
지원인원 | 지원기준에 해당되는 학생 전원 | ||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복지로 홈페이지) 신청 신청기간: 연중 상시 |
||
문의처 | 방과후교육과 이송아 ☎(031) 820-0905 | 마을교육공동체정책과 이송아 ☎(031) 820-0910 | 마을교육공동체정책과 이송아 ☎(031) 820-0909 |
초등5 | 방과후 보육료 지원 | ||
---|---|---|---|
사업내용 | 방과후에 어린이집을 1일 4시간 이상 이용하는 경우 보육료 지원 | ||
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
|
||
지원대상 |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법정차상위계층 이하 취학아동(만 12세이하) | ||
지원인원 | 지원기준에 해당되는 학생 전원 | ||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복지로 홈페이지) 신청 신청기간 : 연중 상시 |
||
문의처 | 방과후교육과 이송아 ☎(031) 820-0905 | 마을교육공동체정책과 이송아 ☎(031) 820-0910 | 마을교육공동체정책과 이송아 ☎(031) 820-0909 |
초등6 | 인터넷통신비 지원 |
---|---|
사업내용 | 저소득층 학생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인터넷통신비 지원 |
지원금액 |
인터넷통신비 월 17,600원, 유해차단서비스 월1,650원 (교육청에서 인터넷통신사에 요금 납부) |
지원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족보호대상자, 난민인정자 |
지원인원 | 지원기준에 해당되는 학생 가구당 1명(형제·자매중 최연소 학생 지원) |
지원방법 | 소득·재산조사 후 기준에 따라 지원 대상자 선정(6월) |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
문의처 | 교육복지기획과 김시훈 ☎(031) 820-0553 |
초등7 | 저소득층 학생 PC 지원 |
---|---|
사업내용 | 저소득층 학생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PC 지원 |
지원내용 | PC(노트북)를 대상학생 가정으로 직접 지원(예산편성액 1대당 119만원) |
지원대상 | 초1~고1 생계·의료수급자, 난민인정자 |
지원인원 | 지원기준에 해당되는 학생 가구당 1명 선정(예산범위 내) |
지원방법 | 소득·재산조사 후 기준에 따라 지원 대상자 선정(6월) |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
문의처 | 교육복지기획과 김시훈 ☎(031) 820-0553 |
초등8 | 교육급여 지원 |
---|---|
사업내용 | 교육기회 보장을 위해 저소득층 학생에게 교육활동지원비 지원 |
지원내용 | 연1회 331,000원 학부모 수급계좌로 지급 |
지원대상 | 기준 중위소득 50%이하(기초생활수급자) |
지원기준 | 소득·재산조사 후 기준에 따라 지원 대상자 선정 |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
문의처 | 교육복지기획과 김시훈 ☎ (031) 820-0553 |
초등9 | 숙박형 현장체험학습비 지원 |
---|---|
사업내용 | 저소득층 학생의 수학여행 및 수련활동비를 지원함으로써 소외감 없이 학교교육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
|
지원대상 | 기초생활수급자중 신청자 |
지원인원 | 약 2,305명(2019년 기준인원임, 2020년 코로나로 체험학습 미실시) |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
문의처 | 융합교육정책과 김현량 ☎(031) 820-0792 |
초등10 | 자살시도 및 정신건강 고위험군 학생 치료비 지원 |
---|---|
사업내용 | 자살 및 자해 시도 학생에 대한 의료비 지원을 통해 정신건강문제 해결 및 자살예방 및 재발방지 사업 |
지원내용 | 병의원 의료비 1인당 6백만원(정신과/신체상해 치료비 각3백만원 한도)으로 예산범위 내 지원 |
지원대상 | 초·중·고 학생 중 자살(자해)시도 또는 정신건강 고위험군 학생 |
지원기준 | 자살을 시도한 학생, 자살시도 이력 학생, 전년도 지원 대상자 중 지속적 치료를 요하는 학생, 기타 정신건강 고위험군 학생 등 |
신청방법 | 사안 발생 일 기준 2개월 이내 학교에서 신청 |
문의처 | 학생생활교육과 송승운 ☎ (031) 249-0866 |
초등11 | 중도입국자녀 한국어교실 운영 |
---|---|
사업내용 | 다문화가정 학생의 맞춤형 언어 교육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신장 |
지원내용 |
|
지원대상 | 경기도 관내 초・중・고등학교 재학생으로서 한국어와 기초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다문화가정자녀 |
지원강사 | 2022년 상반기 강사 190여명, 하반기 강사 50여명 지원 예정 |
지원기준 | 다문화가정 학생 수, 지원대상자 특성과 지원 방안 고려하여 선정 |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교육청에서 학교에 신청 안내 공문 발송(상반기 4월, 하반기 8월경)⇒ 희망하는 학교에서 신청하고 교육청에서는 지원교 선정⇒ 선정된 학교에서 사업추진 |
문의처 | 민주시민교육과 전세화 ☎(031) 249-0453 |
초등12 | 초등학생 안심알리미 서비스 |
---|---|
사업내용 | 초등학생 대상 범죄 예방 및 등하교 안전 확보 위해 등하교 SMS 알림서비스 등 제공 |
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
|
지원대상 |
|
지원규모 |
|
지원방법 및 절차 |
|
문의처 | 학교안전기획과 김채연 ☎(031) 249-0699 |
초등13 | 학기중 토·공휴일 급식비 지원 |
---|---|
사업내용 |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복지 증진을 위해 결식이 우려되는 저소득층 학생에게 학기중(방학중 제외) 토·공휴일 급식비를 지원하는 사업 |
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
|
지원대상 | 결식우려가 있는 18세미만 취학아동으로 지원대상자의 소득 및 가정환경 조사결과를 통해 지자체에서 선정 |
지원인원 | 약 20,702명(지자체 지원계획에 의함) |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주소지기준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하며 지자체 지원계획에 의함 |
문의처 | 학교급식협력과 이일수 ☎(031) 249-0592 |
초등14 | 읽기곤란(난독증) 학생 지원 |
---|---|
사업내용 | 난독증으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이 학습 부진 및 학업 부적응에서 벗어나 행복한 학교생활 지원 |
지원내용 및 지원시기 |
|
지원인원 | 치료지원 대상학생 2021년 450명 지원 예정 |
선정기준 | 초등학교 읽기곤란 의심 학생 대상으로 실시하는 선별검사 결과 난독증 의심 학생에 대해 교육청에서 예산 범위 내 선정 |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학교에서 실시하는 선별검사 결과에 따라 선정하며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음 선정시기: 선별검사 및 대상자 지정: 4월(1학년 7월) |
문의처 | 학교교육과정과 김종화 ☎(031) 820-0736 |
초등15 | 여성청소년 보건위생물품(생리대) 지원 |
---|---|
사업내용 |
|
지원내용 |
|
지원대상 |
|
지원기준 |
|
신청방법 |
|
문의처 |
|
담당자 | 담당부서 | 전화번호 |
---|---|---|
손지원 | 교육복지기획담당 | 031-820-08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