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과제명 | 평가지표 | 측정산식 | 24년 목표 | |
---|---|---|---|---|
목표(A) | ||||
1. 학교교육력 제고 위한 학교평가 | 학교평가 이해 제고 연수 | (참여 학교 수/초중고 전체 학교 수) × 100 | 99% | |
학교평가 컨설팅 실시 | (참여 학교 수/초중고 전체 학교 수) × 100 | 95% | ||
학교평가 컨설팅 만족도 실시 | (만족도 정도/초중고 전체 컨설팅교 수) × 100 | 80% | ||
2. 모든 학생의 학습성공경험을 지원하는 학력향상 교육과정 | 학생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 2022 개정 교육과정 관련 연수 참여도 (담당자 연수 참여 학교수 / 초·중·고 전체 학교수) × 100 |
90% | |
2022 개정교육과정 관련 연수 참여교사 FGI 면담 및 만족도 설문 | 3.75 | |||
단위학교 수업 나눔 참여도 (수업나눔의 장 운영교 수 / 전체학교 수) × 100 |
80% | |||
교원대상 수업 성장도 설문 | 3.75 | |||
기초 학력 보장 | 부진학생해소율 (책임교육학년: 초3, 중1) [(학년초 부진학생 수 - 학년말 부진학생 수) / 학년초 부진학생수 ] × 100 |
55% | ||
학교 밖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학생, 학부모 면담 및 만족도 설문 (초3~고2) |
3.75 | |||
3. 과목 및 인정도서 선택권 확대를 통한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실현 | 고시 외 과목 승인 증가율 | {(당해 연도 승인 고시 외 과목 수 - 전년도 승인 고시 외 과목 수) / 전년도 승인 고시 외 과목 수} × 100 | 50% | |
인정도서 현장 활용 증가율 | {(당해 연도 활용 인정도서 * 수-전년도 활용 인정도서 수) / 전년도 활용 인정도서 수} × 100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