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과제명 | 평가지표 | 측정산식 | 24년 목표 | |
---|---|---|---|---|
목표(A) | ||||
1. 지역특색 실천중심 생태환경교육 활성화 | 지역특색 생태환경교육 | (지역자원 연계 환경교육 희망교수 / 경기도 내 유·초·중·고·특수 학교 수) × 100 | 60% | |
지속가능발전 실천역량 지표 향상 | 프로젝트 적용 전·후 지수 비교 *지수: 실천행동역량, 비판적사고역량, 문제해결능력, 사회적책임인지 |
5% | ||
탄소배출 절감 실천 | {(2023년 1인당 전기소비량 (KWh) ÷ 2024년 1인당 전기소비량 (KWh)) × 1/2 + (2023년 1인당 잔반배출량 (kg) ÷ 2024년 1인당 잔반배출량 (kg)) × 1/2 } × 100 | 5% | ||
2. 지역맞춤형 예술독서교육 활성화 | 지역 연계 학교예술교육 | (지역 예술자원 활용교 수 / 경기도 내 초·중·고교) × 100 | 40% | |
학생예술감수성 및 심리정서함양 | 지역예술자원 활용교 대상 1) 학생예술감수성 2) 심리정서함양지수 함양 검사 |
80% | ||
지역 연계 독서인문 교육 | (지역연계 프로그램 운영교 / 경기도 내 초·중·고교) × 100 | 40% | ||
독서역량·인문학적 소양 | 학생독서역량(태도) 및 인문학소양 검사 | 80% | ||
3. 다문화학생의 체계적 지원 확대를 통한 글로벌 인재로의 성장 지원 | 다문화학생 한국어능력 신장 | [경기한국어랭기지스쿨종료시영역별 학생 평균] - [입취학전 영역별 학생점수 평균] *영역: 한국어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각 영역별 100점 만점) |
영역별 평균 37.14점 이상 향상 | |
교원 대상 다문화수용성(KMCI) 지표 향상 | 교육과정 적용 전후 지수 비교 *지수: 다양성(0.39), 관계성(0.38), 보편성(0.23) |
지수 1.04점 이상 향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