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자료실

전체지도 이미지
국제교류 현황 표 -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순으로 안내합니다.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덴마크
(코펜하겐)
덴마크 아동교육부 교육의 방향을 수립하는 정부 기관 학교 교육활동 지원 체계, 교사의 자율권 보장, 미래교육을 위한 디지털 교육에 대한 정책 공유 바로가기 2024.10.
덴마크
(코르쇠르)
헬름스 스콜레
(Helem's Skole)
사립 유초중통합학교 학부모, 교사가 함께 참여하는 아침 교육프로그램 참관 및 인성교육 정책 공유 바로가기 2024.10.
덴마크(미델파르트) 아이스비아후스 국제 에프터스콜레
(Eisbjerghus Internationale Efterskole)
다국적 애프터스콜레 언어와 수학 학습과 평가를 통한 학력 인정 제도 공유 바로가기 2024.10.
덴마크
(코르쇠르)
에프기우 쑤올 오 베스트셀랜드
(FGU Syd-og Vestsjælland)
직업훈련을 위한 도제실습학교 직업교육과정이 사회의 변화와 지역의 수요를 직접적으로 반영 바로가기 2024.10.
덴마크
(코펜하겐)
주덴마크 대한민국대사관 대한민국대사관 교민사회 현황 및 한국 학교와 교류를 희망하는 현지 학교에 대한 상황 공유 2024.10.
국제교류 현황 표 -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순으로 안내합니다.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핀란드
(헬싱키)
Kaivokselan koulu 핀란드 헬싱키에 위치한 초등학교로 26학급 60명의 교원 근무 과거 광산이었던 지역에 설립된 학교로 광산지역에 이민자가 많이 유입되었던 배경으로 외국어 교육이 활성화되어 있음. 모국어로서의 영어교육 프로그램, 학습 환경등에 대해 공유함. 핀란드 헬싱키 반타시 교육부에서 결석학생을 줄이기 위해 운영한 프로젝트로 플랫폼을 개발하여 건강한 학교생활 문화 조성, 인성교육 등, 어플리케이션활용 학생들의 웰빙평가 등을 실시한 사례, Friendship skills and emotional skills lessons 등을 의무교육으로 시차원에서 교사에게 제공하였고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교사들의 실제 의견을 공유함. 이 프로젝트는 24년 2월 종료되었고, 운영 결과를 환류하여 새로운 프로젝트를 준비중이라고 함 바로가기 2025.1.
핀란드
(헬싱키)
Bridge Forty Seven 다양한 이해관계자(시민사회 단체, 공무원, 연구원 등)의 개인과 조직을 한곳으로 모으는 글로벌 네트워크 Bridge47 대표 (Rilli Lappalainen)가 2024 유네스코 교육의 미래 해외 연사로 참석하였고, 지속발전가능한 교육에 대한 상호 관심을 바탕으로 기관방문을 진행하였음. 경기도교육청에서 추구하는 ’모두를 위한 교육: 공교육 확대‘라는 측면에서 많은 인사이트를 상호공유할 수 있었음. 전 세계적인 네트워크 구축 및 지속가능교육확산을 위한 시스템 구축, 정규교육과 비정규교육의 중요성 강조, 평생교육의 측면으로의 확장 방안 논의 등 바로가기 2025.1.
핀란드
(오울루)
Oulu International School 2001년 설립된 공립 IB 월드스쿨, 초등(PYP) 및 중등(MYP) 운영, 7세~16세 약 430명의 핀란드 출신 및 20여 개국 다양한 국적의 학생이 재학중임 공립학교로서 경기도교육청 IB 학교 운영과 유사점 많음. IB를 운영하는데 있어 상당한 재정이 필요한데, OIS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와 국가 정부 공적자금으로 필요한 재정 받으며 추가 자금으로 IB에서 의무적으로 요구하는 교사교육과 IB 연회비를 지원받고 있음. 경기도교육청 IB학교의 지속가능성 보장을 위해 매년 지속적이고 안정적지원 방안에 대한 모델이 될 수 있음. 또한 경기도교육청에서 고민하고 있는 PYP-MYP-DP의 연계와 관련하여 오울루 지역의 IB 학교 운영 방법(PYP, MYP, DP, CP 각각 학교별 인증 및 교육시설 공유 등)등에 대한 교류를 통해 발전방안을 추구해 볼 수 있을것 같음 바로가기 2025.1.
국제교류 현황 표 -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순으로 안내합니다.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영국
(런던)
토트리지 아카데미
(Totteridge Academy)
2016년 설립되어 학업 성취도와 함께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에도 중점을 둔 교육기관 에듀테크 활용을 통한 학력 신장 및 학교 혁신사례 공유 바로가기 2024.1.
영국
(런던)
홀리트리니티 초등학교
(Holy Trinity Primary School)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학생들을 교육하는 학교 에듀테크 활용 수업 혁신 사례 공유 바로가기 2024.1.
영국
(런던)
남글로체스터셔 의회
(South Gloucestershire Council)
1996년 설립된 남글로체스터셔의 지방정부 학생 건강, 복지 정책 및 IT 정책 공유 바로가기 2024.1.
영국
(런던)
블랙호스 초등학교
(Black Horse Primary School)
에머슨스 그린에 위치한 초등학교로 현재 아카데미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 에듀테크 활용 수업 혁신 사례 공유 바로가기 2024.1.
영국
(런던)
Bett Show 2024 세계 최대 규모의 교육기술 박람회 Foton, leemons, algor 등 부스체험 및 마이크로비트활용 소프트웨어 교육, 인공지능교육 콘텐츠 공유 바로가기 2024.1.
영국
(런던)
구글 런던 사무실
(Google London Office)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강조한 구글의 대표적인 공간 에듀테크 기반 수업 및 교원업무경감 사례 공유 바로가기 2024.1.
영국
(노리치)
Norwich school 지역의 유일한 사립학교로 영국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학교임. 학생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함. 또한 성당과 같이 연결해서 인성수업, 사회적 공헌(지역사회 자원 봉사, community sercive) 등도 중점적 실시함. 다양한 프로그램 개설을 위한 지역 협력 방안 협의, 또한 학업성취가 뛰어난 학생들을 위한 양질의 강사진 구성이나 전문적 영역에 맞는 강사 확보 등 인력풀 구성의 중요성 공유 바로가기 2024.6
영국
(노리치)
City College Norwich 노리치 직업학교로 시티칼리지, 성인교육, 도제수업, 학사학위과정 등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 요구를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 설계 운영, 특히 지역의 기업과의 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바로가기 2024.6
영국
(노리치)
University of East Anglia 교사양성프로그램을 가진 대학으로 지역의 학교에서 실습과정 연계 운영 및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대학 내 연구소 운영 교사양성을 위한 지역교육과정 구성 관련 협의, 지역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대학의 역할에 대한 의견 공유 바로가기 2024.6
영국
(노리치)
Norwich Football Club 지역의 축구 클럽으로 학교에 부적응하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스포츠를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 확인, 지역의 기업, 기관, 단체의 교육에 대한 공헌 인식 협의 - 기업, 기관, 단체의 교육에 대한 공헌 인식이 필요함. 바로가기 2024.6
영국
(노리치)
BBC East BBC본사와 연계하여 BBC의 다양한 교육, 문화프로그램의 자료와 관련물품을 판매함으로써 문화의 전달과 참여형의 거점 역할 지역신문사, 방송사 등 미디어관련 기관과의 협력 기반 전문적인 프로그램 운영 방안에 대한 공유 바로가기 2024.6
영국
(런던)
Kingston University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Future Skills 중점 커리큘럼 운영 대학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능력이 IT나 반도체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부분이 아니라 문제해결능력, 동료와의 협력 등 역량신장이라는 점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바로가기 2024.6
국제교류 현황 표 -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순으로 안내합니다.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네덜란드 Aeres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Dronten 네덜란드 AERES의 응용과학대학교 선진모델 발굴을 통한 경기농업교육 활성화 방안 도출, 네덜란드 농업교육 정책과 에레스(Aeres) 응용과학대학의 디지털 농업교육 공유를 통해 한국형 농업교육의 발전 방향 제언, 네덜란드 AERES 온라인 교육과정 운영, 교원 역량 강화 연수 프로그램 지원 바로가기 2024.10.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Fiep Westendorp, the community school Community School로 정규 수업시간 외에는, 보육시설 및 방과후 돌봄시설, playgroup(4세 이하 아이들을 위한 놀이그룹) 및 community activities를 위한 장소로 활용 학교시설 개방 및 공유, 다문화학생 교육과정, 학부모회 운영 등 우수사례 공유 바로가기 2024.6.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NEMO 네덜란드 최대 규모의 과학 박물관으로 다양한 전시물과 학생이 직접 체험하고 실험하는 전시관 운영함. 또한 교사 대상 교육 프로그램과 자료지원 실시함 지역의 과학관, 박물관과의 협력으로 학생의 흥미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 논의 바로가기 2024.6.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DNA Labs 2006년 개원, 2017년부터는 ABE(세계교육프로그램)와 협력하여 학생지도 및 교사 역량 강화 지원, 2019년도부터 키트 개발, 교사 연수, 네덜란드 전체에게 개방하여 학생지도에 사용하도록 지원 지역 대학과 기업의 자발적 참여 유도 방안 모색 방안 협의, 경기공유학교 대학연계 프로그램에 관한 소개 바로가기 2024.6.
국제교류 현황 표 -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순으로 안내합니다.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독일
(프랑크푸르트)
마테마티쿰 수학박물관 수학대중화를 위해 설립된 세계 최초의 수학박물관으로 170개 이상의 다양한 교구를 갖춘 상설전시관과 다양한 주제의 기획전시관 보유 관장 면담 및 수학박물관 견학을 통해 학교와 협력체계 강화 방안, 학생 수학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안 공유 바로가기 2024.5.
독일
(프랑크푸르트)
카를 슈르츠 김나지움 1901년에 개교한 프랑크푸르트 소재 고등학교이며, 헤센주 인증 MINT학교 헤센주의 교육제도 및 학교 지원 내용 공유, 중등 MINT학교 인증조건, 학교육방안 공유 2024.5.
독일
(베를린)
홈볼트대학교 1810년 개교한 대학교로서 많은 노벨상 수상자 배출 경기도내 고등학교-훔볼트대학교-독일MINT학교간 온라인 국제교류 추진 협의 바로가기 2024.5.
독일
(베를린)
베를린연방 교육연구부 8개 부서로 구성된 부서로 대학교육과 연구지원을 담당 연방교육부 차원의 START CHANGE 프로그램 내용 및 운영 방안 공유 바로가기 2024.5.
독일
(보훔)
재독 한국과학기술자협회 한국과 독일간의 과학기술 교류 증진을 위해 설립된 민간 조직 경기도교육청의 이공계 진로 및 과학교육 교류 협력 방안 공유 바로가기 2024.5.
독일
(보훔)
보훔루르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4개 대학부, 20개 단과대학을 보유한 독일 학생들이기 가장 선호하는 대학교 중 하나 보훔루르대학교 연구소 및 한인 연구자 면담을 통해 학생 이공계 진로 방안 공유 바로가기 2024.5.
독일
(프랑크푸르트)
리젤외스트라이허슐레 2007년 개교한 프랑크푸르트 소재 4년제 초등학교로서 MINT 친화학교 인증을 받은 유일한 초등학교 초등학교 운영 방안 및 MINT 중점학교 운영 방안 공유 2024.5.
독일
(베를린)
Landesinstitut für Schule und Medien Berlin-Brandenburg
(베를린-브란덴부르크 국립학교 및 미디어 주연방 연구소)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 주의 학교폭력 등 공동연구소 2007년에 설립된 독일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 지역의 학교 교육 개발과 미디어 교육을 위한 주립 연구소, 학교 교육의 질 향상과 학교 발전을 목표로 강사 연수, 교육 자료 개발, 학교 폭력 예방 및 갈등 해결 프로젝트를 수행함, 독일 사회에서 이슈가 되는 신체 접촉, 인종 차별, 경제력 차이, 사이버 폭력, 왕따 문제를 학교 내에서 교육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함 바로가기 2024.8.
독일
(베를린)
Berliner Zentrum fur Gewaltprvention
(베를린 폭력 예방 센터)
독일의 폭력예방 및 해결 프로그램 운영 기관 베를린에서 가정 폭력·파트너 간 폭력 예방, 가해자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 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의 상담을 통해 중재 절차를 진행하며, 가해자를 대상으로 개인 상담과 그룹 세션을 통해서 행동 패턴을 개선하고, 책임감을 키우며 갈등을 비폭력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함 바로가기 2024.8.
독일
(베를린)
Senatsverwaltung für Bildung, Jugend und Familie SIBUZ
(베를린 주교육청)
베를린주 교육 정책 담당 기관 베를린 주정부의 교육, 청소년, 가족 복지와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기관, 안전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학생 대상의 조기교육으로 예방이 중요하며, 가해자·피해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학교 내부적으로 폭력 예방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도록 노력함 바로가기 2024.8.
독일
(베를린)
Konflikthaus e.V
(갈등의 집)
갈등 해결과 중재를 지원하는 비영리 단체 조정자와 트레이너 네트워크로 구성된 비영리 단체로 갈등 해결과 중재를 지원하는 비영리 단체, 갈등 상황에서 효과적 소통과 문제 해결을 돕는 교육을 제공하며, 갈등 중재 기법을 교육하여 중재 전문가를 양성하고, 갈등 상황에 놓인 개인이나 단체를 대상으로 상담을 제공하여 자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함 바로가기 2024.8.
독일
(라이프치히)
Anton-philipp-Reclam-Schule
(안톤 필립 레클람 학교)
라이프치히 내 중등학교 1834년에 설립한 독일 라이프치히에 위치한 고등학교로 독일-프랑스 교육 연계 및 다문화 교육, 자연과학분야 특성화 교육을 운영, 민주적인 학급회, 학생자치회 등을 통해서 협의와 토론 문화를 통한 의사결정으로 학교 폭력 예방에 기여함, 협력, 참여, 책임이라는 가치가 학교 내 폭력 예방과 갈등 해결의 핵심 요소로 적용함 바로가기 2024.8.
독일
(라이프치히)
Arbeitskreis schulmediation leipzig
(라이프치히 학교 중재 기관)
라이프치히 내 학교 내 갈등 해결 중재 기관 독일 라이프치히에 위치한 교육 및 중재 기관으로, 학교 내 갈등 해결을 위한 중재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교육함, 조기교육을 통한 분노 및 갈등 조절 능력의 향상이 필요하며, 학생 자율성을 강조하여 주도적으로 갈등을 해결하고 공동체 생활 능력에 기여함 바로가기 2024.8.
독일
(드레스덴)
Polizeidirektion Dresden
(드레스덴 경찰서)
작센 주 청소년 범죄 예방 및 법 집행 기관 작센 주 경찰(Polizei Sachsen) 산하에 있으며, 범죄 예방 및 법 집행을 담당하는 기관, 중앙통제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구축, 선도활동, 감시시스템, 학교방문 예방활동, 언론홍보 등을 통해 학교 폭력 예방 활동을 실시하고, 학생 대상의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서 감정 표현과 갈등 해결 기술을 교육함 바로가기 2024.8.
독일
(드레스덴)
Gymnasium Dresden-Plauen
(드레스덴 플라우엔 학교)
드레스덴 내 중등학교 1896년에 교사 교육 세미나로 설립되었고, 1992년부터 일반 고등학교로 운영되는 드레스덴 남쪽에 위치한 일반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 학교 폭력의 심각성을 알리고 예방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세미나와 워크숍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며, 외부 기관과 협력하여 학생들이 폭력 문제를 자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함 바로가기 2024.8.
독일
(드레스덴)
Landespr'ventionsrat Sachsen
(작센주 범죄 예방 위원회)
작센 주의 범죄 예방 정책과 프로그램 기획 기관 작센 주의 범죄 예방 및 사회적 통합을 목표로 다양한 프로젝트와 협력을 추진하는 기관,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범죄를 예방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함 바로가기 2024.8.
국제교류 현황 표 -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순으로 안내합니다.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에스토니아
(탈린)
Harno: Education and Youth Board of Estonia 에스토니아 교육 및 청소년 정책 시행을 다루는 에스토니아 교육 연구부 산하 정부기관으로, 교육부에서 정책이 수립되면 Harno에서 실시. 직원은 400여 명으로 에스토니아 내에서 규모가 큰 기관임 2022년 PISA(국제학업성취도평가)에서 에스토니아가 유럽 내 1위를 하며 관련 질문을 많이 받고 있는데, 에스토니아의 성향상 PISA의 결과에 대해 다른 나라랑 비교하고 경쟁하기보다는 자체적인 평가를 통해, 우수 학생에 대해 충분한 경험을 가진 교사들의 지원을 제공함. 또한 디지털 교육의 힘만으로 PISA 결과가 높은 것이 아니라 growth mindset 즉, 교육 자체에 중점을 두고 왜 공부를 하는지, 이 공부를 통해서 무엇을 하고 싶은지, 학생들에게 계속 질문을 하고 학생들이 대답을 찾음으로써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었음. 경기미래교육을 공유하고 에스토니아 교육과의 유사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지속가능한 교류를 희망하였음. 바로가기 2025.1.
에스토니아
(탈린)
Tallinn School No.21 120년 역사의 공립학교로, 에스토니에서 가장 큰 학교 중 하나(약 1,400명 학생, 80명 이상의 정규교사)로, 1903년 남자초등학교로 설립했으나, 현재 초등,중등교육 모두 진행중 탈린에서 21번째로 생긴 학교로 Tallinn School No.21라는 이름이 붙여졌지만, Education of the 21st century from TALLINN 21st SCHOOL 이라는 슬로건 아래 ‘entrepreneurship, creativity, innovative, critical thinking, cooperation, responsibility, openness, hardworking 등의 주요 핵심 가치를 실현하는 교육활동을 운영중이며, 학교 수업 참관, 브리핑 등을 통해 상호 교육활동 교류 및 질의 응답을 함. 디지털 역량과 관련해서 디지털 기기 사용을 과도하게 하지 않고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학생과 학부모들의 협력적 관계를 바탕으로 자율성을 기반으로 학교 운영하고 있다고 강조함. 학교 자율과 책임으로 역량을 키우는 교육을 실현하는 경기교육정책과 유사성이 있으며 특히 공동의 학교 문화를 조성하여 서로 존중하고 협력하며 성장하는 학교의 모습을 볼 수 있었음 바로가기 2025.1.
에스토니아
(탈린)
Jarvenpaa senior high school 약 70명의 교사, 약 1,000명의 재학생이 있으며 일반교육과정과 특별교육과정(심화과정)이 있음. 드라마, 수학, 자연과학, 시각 및 미디어 예술분야, 음악과 춤,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과정을 운영함. 학교 공간이 층별, 전공별로 잘 구성되어 있으며, 방문 프로그램 소개를 담당교사와 재학생 5명이 함께 진행하여 교육과정 운영, 입학시험, 급식, 심화과정 등에 대한 질의응답을 상시로 진행함. 오래전부터 시행해 온 고교학점제가 잘 정착되어, 학생들이 자신의 관심 분야 과목 선택 및 시간표를 작성하여 흥미와 적성에 따라 특화된 과목을 수강할 수 있음. 다른 학교의 교육과정에 있는 강의를 신청하여 온라인으로 수강할 수도 있어서, 경기온라인학교 운영과 관련하여 유사한 측면을 볼 수 있었으며, 시에서 운영하는 기관이나 대학교 등 외부 강사의 도움을 받아 특별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음. 바로가기 2025.1.
국제교류 현황 표 -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순으로 안내합니다.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아일랜드
(더블린)
아일랜드 교육부 정부 기관 미래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과제 공유 2024.10.
아일랜드
(더블린)
Collinstown Park Community College 공립 중고통합학교 이중언어교육 및 다문화 학생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공유, 학생 맞춤형 교육을 위한 보조교사 순환제 공유 바로가기 2024.10.
아일랜드
(더블린)
Colaiste Cois Life 공립 고등학교 한국어를 정규 수업으로 바로가기 2024.10.
아일랜드
(더블린)
주아일랜드 대한민국대사관 대한민국대사관 아일랜드 내에서 한국어 교육에 수요가 늘고 있는 상황 공유 바로가기 2024.10.
국제교류 현황 표 -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순으로 안내합니다.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프랑스
(파리)
UNESCO Headquarters 1945년 설립된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 2024 유네스코 교육의 미래 국제포럼 공동주최기관으로서 국제포럼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에 관한 협의, 해외 참가자 범위 및 섭외, 공동주최 기관 간 역할 분담에 대한 협의 진행, 경기교육 '자율, 균형, 미래'에 큰 관심을 갖고 교육적 가치에 대해 공감하며 상호 지속적인 교류를 희망함 바로가기 2024.5.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프랑스 국가위원회 프랑스의 유네스코 학교, 클럽, 석좌, 창의도시, 학습도시 등 유네스코 관련 프랑스 네트워크 발굴 및 콘텐츠 지원 유네스코 교육의 미래 보고서에 기반한 교육 정책 추진 사항에 대한 상호 교류 진행. 특히 학교 차원에서의 기후행동 교육, 포용교육, 성평등, 연대 등과 관련된 폭넓은 주제를 포함한 교육과정 운영, 학생-교사-학교의 자율성, 지역 네트워킹을 통한 교육 등에 대한 상호 교육정책 공유 바로가기 2024.5.
국제교류 현황 표 -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순으로 안내합니다.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체코
(프라하)
Magistrát hlavního města Prahy - Odbor školstv
(프라하 교육청소년체육부)
프라하 교육청소년체육 정책 정부 부처 1969년에 설립된 프라하의 정부 부처로 유아 교육, 초중등 교육, 고등 교육, 과학 정책, 연구 개발 및 국제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공 행정을 담당함, 청소년의 사회적, 정서적 발달을 지원하는 스포츠 활동을 장려하고, 체육 교육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함 바로가기 2024.8.
체코
(프라하)
Universitas Carolina
(카를로바 대학교)
카를로바 대학교로 위기정보시스템 도입 기관 학예를 중시하던 카를4세의 기풍과 카톨릭을 부흥시키려는 목적으로 1348년에 건립되어 600년 넘게 체코의 학문 정신을 계승하는 대학, 1951년부터 한국어 학과가 생겨서 꾸준히 한국과 교류하고 있음, 2023년 12월, 예술학부에서 발생한 총기 사건 이후, 캠퍼스 보안을 강화하고 새로운 위기 정보 시스템(KISS)을 도입하고, 긴급 상황 대응 훈련을 실시함 바로가기 2024.8.
국제교류 현황 표 -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순으로 안내합니다.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컨텐츠 내용이 없습니다.
국제교류 현황 표 -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순으로 안내합니다.
국가(지역) 기관명 기관소개 교류내용 홈페이지 방문시기
컨텐츠 내용이 없습니다.

선호도,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의 내용과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
    정책기획관 국제협력담당
  • 전화번호
    031-249-0048
최종수정일
2025-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