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자료

‘경기미래장학’, 미래교육지원청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

  • 분류 도교육청
  • 공공저작물이용 적용
  • 공공저작물유형(상업적 이용) 금지
  • 공공저작물유형(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 작성자 김영석
  • 등록일 2025.08.05
  • 조회수551
‘경기미래장학’,  미래교육지원청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2 이미지

경기미래장학’,

미래교육지원청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

도교육청-교육지원청 연속 소통, 경기미래장학 실행력 강화 제고


도교육청, 경기미래장학 실행력 제고를 위한 교육지원청 방문 협의

시흥·이천·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 방문, 광주하남 포함 순차 확대

학교자율 운영 확대를 위한 도교육청-교육지원청-학교 소통 체계 심화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미래교육지원청 시범 운영 본격화를 앞두고 경기미래장학실행력 제고를 위한 현장 소통과 협력 강화에 적극 나선다.

도교육청은 미래교육지원청과의 긴밀한 소통으로 경기미래장학의 실행력을 높이고, 학교중심정책의 현장 안착을 촉진하고자 힘쓰고 있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올해 7, 시흥·이천·구리남양주 교육지원청을 차례로 방문해 교육지원청 장학 체계 개선을 위한 현장 소통을 진행했다. 이 자리는 경기미래장학을 포함해 경기미래교육 학교중심정책실행 기반 강화에 초점을 맞춰 운영했다.

주요 논의로는 단위학교의 이력 기반 맞춤형 장학 설계, 교육지원청 중심 장학협의체 구성과 협의 문화 활성화, 지구장학협의회 내실화 방안, 학교자율 장학 지원 체계 확대 방안 등 경기미래장학 추진 계획의 주요 과제를 심도 있게 논의했다.

오는 11일에는 네 번째로 경기도광주하남교육지원청(교육장 오성애)을 방문해 학교중심정책 실행과 환류 기반 확장 방안 등을 함께 모색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앞으로도 교육지원청의 장학 기능이 학교의 자율과 책임을 유기적으로 지원하는 구조로 전환될 수 있도록 힘쓰고, 정책-장학-실천의 선순환 체제 구현을 위해 미래교육지원청의 새로운 역할 구체화에 집중해 나갈 계획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미래교육지원청과의 현장 소통은 경기미래장학의 실행력을 높이고, 학교중심정책의 현장 안착을 촉진하기 위한 이라며 앞으로도 학교 교육활동 이력에 기반한 맞춤형 장학과 통합 지원을 통해, 학교가 미래교육의 주체로 더욱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페이지의 내용과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
    홍보기획관 언론담당
  • 전화번호
    031-249-0814
최종수정일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