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자료

경기도교육청, 사용자 참여 학교공간조성 박차 오는 2024년까지 총 88교 완료 목표

  • 분류 도교육청
  • 공공저작물이용
  • 공공저작물유형(상업적 이용)
  • 공공저작물유형(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 작성자 이수정
  • 등록일 2023.11.01
  • 조회수1764
경기도교육청, 사용자 참여 학교공간조성 박차 오는 2024년까지 총 88교 완료 목표1 이미지
경기도교육청, 사용자 참여 학교공간조성 박차 오는 2024년까지 총 88교 완료 목표2 이미지
경기도교육청, 사용자 참여 학교공간조성 박차 오는 2024년까지 총 88교 완료 목표3 이미지
경기도교육청, 사용자 참여 학교공간조성 박차 오는 2024년까지 총 88교 완료 목표4 이미지
경기도교육청, 사용자 참여 학교공간조성 박차 오는 2024년까지 총 88교 완료 목표5 이미지
경기도교육청, 사용자 참여 학교공간조성 박차 오는 2024년까지 총 88교 완료 목표6 이미지

경기도교육청, 사용자 참여 학교공간조성 박차


오는 2024년까지 총 88교 완료 목표




배움과 쉼, 놀이가 공존하는 공간 조성사업 추진.. 겨울방학 본격 공사 











◦ 사용자 참여설계 통해 학생·교직원·학부모 등 교육공동체 의견 반영


◦ 학교 비전 및 교육과정과 연계한 미래사회 대응 융·복합공간 조성


◦ 2019~2021년까지‘학교 공간혁신사업’통해 107교 공간조성 완료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은 오는 2024년까지 총 88교에 867억 원을 투입해 교육공동체 의견을 반영한 공간 조성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교육청은 올해 사용자 참여설계를 통해 다양한 학교 공간 재구조화를 지원하는 학교 공간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사용자 참여설계는 학생, 교직원, 학부모 등 학교 공간의 사용자가 주도해 공간의 변화를 기획하고 설계하는 과정이다. 사업 추진은 ▲사용자 참여설계를 통한 교육공동체 의견 수렴 ▲공간 구체화를 위한 실시설계 ▲공사 순서로 진행된다.


도교육청은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사용자 참여설계 전 과정의 조력·촉진을 위해 건축사, 건축 교육전문가 등 전문성을 갖춘 공간기획가 인력풀을 구성하여 운영 중이다.


사업 성과로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추진한 영역단위 학교 공간혁신사업으로 공간 조성을 완료한 107교가 있다. 사업 첫 해인 2019년엔 32교에 약 99억 원, 2020년에는 39교 약 178억 원, 2021년에는 36교 약 182억 원을 투입해 교육공동체 의견을 담은 학교 공간 조성을 완료했다.


올해는 초등학교·중학교·특수학교 대상 ‘공간드림사업’ 및 고교학점제 대비 학생 맞춤형 학습공간 조성을 위한 ‘고교학점제 공간 조성사업’ 추진을 통해 총 88교에 교육공동체 의견을 반영한 공간 조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공간드림사업은 총 30교에 예산 105억 원을 투입, 고교학점제 공간 조성사업은 총 58교에 762억 원을 투입해 추진 중이다. 현재 사용자 참여설계를 완료했으며 올해 겨울방학부터 본격적으로 공사 추진을 시작하여 2024년 중 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경기도교육청은 올해 학교 관계자의 실무 이해를 돕고 학교별 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공간기획가 대상 연수를 2회에 걸쳐 추진했다. 아울러 지난 4월, 현장 의견을 반영하여 사용자 참여설계 기준을 정비 및 배포한 바 있다. 


학교별 특색 반영을 위한 특화계획 수립 및 현장 집중 지원을 위해 맞춤형 전문 컨설팅 계획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경기도교육청 김귀태 학교공간조성담당관은 “교육공동체 중심의 다양하고 유연한 학교 공간을 구축함으로써 ‘공간’을 통해 미래 융·복합 교육에 대응하고, 학생 창의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문의 : 031-249-0753, 학교공간조성담당관 공간조성사업담당 김가은


이 페이지의 내용과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
    홍보기획관 언론담당
  • 전화번호
    031-249-0814
최종수정일
2025-04-01